티스토리 뷰
WAS
WAS 서버의 주요 역할
- 동적 콘텐츠 생성: 서블릿, JSP, EJB 등을 통해 동적인 웹 페이지와 서비스를 생성합니다.
- 비즈니스 로직 처리: 애플리케이션의 핵심 로직을 실행하고 처리합니다.
- 데이터베이스 연동: 데이터베이스와의 연동을 통해 데이터를 조회하고 업데이트합니다.
- 트랜잭션 관리: 데이터베이스와의 복잡한 트랜잭션을 관리합니다.
- 보안 관리: 사용자 인증, 권한 부여, 데이터 암호화 등 보안을 관리합니다.
- 세션 관리: 사용자 세션을 유지하고 관리합니다.
웹 컨테이너
WAS의 일부로, 서블릿과 JSP를 실행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합니다.
웹 애플리케이션의 요청과 응답을 처리하며, 서블릿과 JSP의 라이프사이클을 관리합니다.
웹 컨테이너의 주요 역할
- 서블릿 및 JSP 관리: 서블릿과 JSP의 생명 주기(라이프사이클)를 관리합니다.
- 요청 및 응답 처리: 클라이언트로부터의 HTTP 요청을 받아 처리하고, 응답을 생성하여 클라이언트에게 반환합니다.
- 서블릿 컨테이너: 서블릿을 로드, 초기화, 실행, 종료합니다.
- JSP 컨테이너: JSP를 서블릿으로 변환하고 실행합니다.
- 세션 관리: 각 클라이언트의 세션을 관리합니다.
- 보안 관리: 서블릿과 JSP의 보안을 관리합니다.
WAS(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)와 웹 컨테이너의 관계
웹 컨테이너를 포함한 더 큰 개념입니다.
웹 컨테이너 외에도 EJB 컨테이너, 메시징 시스템, 트랜잭션 관리 시스템 등을 포함하여 더 복잡한 비즈니스 로직과 애플리케이션을 처리합니다.
*예시*
호텔과 객실 관리
- WAS: 호텔 전체를 운영하는 관리자. 호텔의 모든 운영을 관리하고, 각종 편의시설과 서비스를 제공합니다.
- 웹 컨테이너: 호텔 내의 객실 관리자. 객실(서블릿과 JSP)을 준비하고 유지 관리하며, 손님(클라이언트)의 요청을 처리합니다.
WAS (웹 애플리케이션 서버)
│
├── 웹 컨테이너
│ ├── 서블릿 관리
│ ├── JSP 관리
│ ├── 요청 및 응답 처리
│ └── 세션 관리
│
├── EJB 컨테이너 (Enterprise JavaBeans)
├── 메시징 시스템
├── 트랜잭션 관리 시스템
└── 기타 서비스
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(WAS)
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하는 서버.
동적 콘텐츠 생성, 데이터베이스 연동, 트랜잭션 관리, 보안 관리 등을 담당합니다.
웹 컨테이너
서블릿과 JSP를 실행하고 관리하는 WAS의 일부.
서블릿과 JSP의 생명 주기를 관리하고, HTTP 요청과 응답을 처리합니다.
서블릿 요청 처리 흐름
클라이언트 요청(클라이언트(웹 브라우저)가 URL을 통해 HTTP 요청을 보냅니다)
↓
웹 서버 (웹 서버가 요청을 수신하고, 동적 콘텐츠 요청인 경우 웹 컨테이너로 전달합니다)
↓
웹 컨테이너(WAS) (웹 컨테이너가 요청을 처리합니다)
↓
서블릿 매핑 확인 (웹 컨테이너가 web.xml 또는 애노테이션을 통해 서블릿 매핑을 확인)
↓
서블릿 클래스 로딩 (매핑에 맞는 서블릿 클래스를 찾고 로드합니다)
↓
서블릿 인스턴스 생성 (서블릿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생성합니다)
↓
서블릿 초기화 (서블릿의 init 메서드가 호출됩니다.)
↓
요청 처리 (service 메서드 호출 -> HTTP 요청 메서드에 따라 doGet, doPost 메서드가 호출 됨. )
↓
응답 생성 (요청 처리 결과를 기반으로 HTTP 응답이 생성)
↓
클라이언트로 반환 (생성된 응답이 클라이언트에게 반환됩니다)
JSP 요청 처리 흐름
클라이언트 요청 (클라이언트가 URL을 통해 HTTP 요청)
↓
웹 서버 (웹 서버가 요청을 수신, 동적 콘텐츠라면 웹 컨테이너로 전달)
↓
웹 컨테이너 (웹 컨테이너가 요청을 처리합니다)
↓
JSP 컴파일 확인 (웹 컨테이너가 JSP 파일을 서블릿으로 변환 및 컴파일 확인)
↓
서블릿 클래스 로딩 (변환된 서블릿 클래스를 로드)
↓
서블릿 인스턴스 생성 (.class 파일로 변환된 서블릿 인스턴스 생성)
↓
서블릿 초기화 (jspInit) (서블릿의 jspInit 메서드 호출)
↓
요청 처리 (_jspService 메서드 호출 → JSP 페이지 처리)
↓
응답 생성 (요청 처리 결과를 기반으로 HTTP 응답 생성)
↓
클라이언트로 반환 (생성된 응답이 클라이언트에게 반환)
JSP 파일은 결국 서블릿으로 변환되어 동작합니다.
하지만 서블릿과 JSP를 분리해서 사용하는 이유는 두 기술이 각각의 용도와 장점이 있기 때문입니다.
JSP와 서블릿은 각기 다른 상황에서 더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.
서블릿과 JSP의 분리 이유
- 책임 분리 (Separation of Concerns):
- 서블릿: 비즈니스 로직과 요청 처리에 집중.
- JSP: 프레젠테이션(뷰) 계층에 집중하여 HTML 콘텐츠를 생성.
- 이를 통해 코드의 가독성, 유지보수성, 재사용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.
- 개발 생산성 향상:
- JSP는 HTML 작성이 용이하여 프론트엔드 개발자가 쉽게 작업할 수 있습니다.
- 서블릿은 자바 코드로 작성되어 백엔드 개발자가 복잡한 로직을 처리하는 데 적합합니다.
- MVC 패턴 지원:
- Model-View-Controller(MVC) 패턴에서 서블릿은 주로 컨트롤러 역할을 하고, JSP는 뷰 역할을 합니다.
- MVC 패턴을 사용하면 애플리케이션 구조를 더 체계적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.
'JSP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서블릿 작성, 배포, web.xml 설정 (0) | 2024.07.01 |
---|---|
서블릿 및 서블릿 life cycle (0) | 2024.07.01 |
웹 브라우저, URL, 웹 렌더링 (0) | 2024.06.28 |
Web, Web resource, 웹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통신 (0) | 2024.06.28 |
HTTPS (0) | 2024.06.28 |